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73

12신살 - 재살(災殺) 해석 재살(災殺)은 일명 수옥살(囚獄殺)이라고도 하는데 겁살이 돌격대장이면 재살은 겁살을 잘 활용하는 배후조종자와 같습니다. 역모동조자라는 가면을 쓰고 야망을 숨기며 눈에 보이지 않게 행동합니다. 재살(災殺)은 자오묘유(子午卯酉)이므로 그 자리에서의 문제가 되므로 급작스러운 사건이 일어나는데 납치, 구속, 송사, 질병, 교통사고 등이 됩니다. 앞에서 감시가 이루어지니 겉으로는 유들유들 좋은 듯이 행동하지만 마음속으로는 칼을 갈고 있으며 야망을 숨기고 눈에 보이지 않게 행동합니다. 재살운에는 뭐든지 잘해주려고 하는 사람이 내 비밀과 약점을 잘 알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후원자이자 내 약점을 쥐고 있는 사람이 되는데 언제든지 겁살(劫殺)과 편을 먹고 적으로 돌변할 수 있습니다. 재살(災殺)에 해당하는 사람은 나.. 2023. 5. 20.
12신살 - 겁살(劫殺) 해석 겁(劫)이란 글자는 빼앗긴다는 뜻이라 외부로부터 겁탈이나 강탈을 당하거나 의외의 화를 입는다는 뜻입니다. 삼합의 마지막 글자의 다음 글자로 인신사해(寅申巳亥)가 되며 12 운성으로는 삼합의 대표오행의 절(絶)지가 됩니다. 겁살(劫殺)은 대모살(大耗殺) 천지대살(天地大殺)이라고도 하는데 역모주동자로 차압, 압수 등의 뺏고 빼앗기는 곳, 폭행, 반항, 철거, 강탈, 압수, 수색, 구속, 박멸 등의 작용이 이루어집니다. 반대로 쿠데타를 일으켜 고치고 개선하고 뒤집어엎어서 정복하는 모양도 겁살(劫殺)에서 이루어집니다. 겁살(劫殺)은 안전하지 않고 위험이 도사리는 건들면 큰일 날 것 같은 부실공사를 뜻하기도 합니다. 보수가 필요하거나 재건축이 필요한 곳, 수리해야 하고 기존세력이 어수룩해 개혁이 필요한 곳이 됩니.. 2023. 5. 19.
12신살 구성원리 - ② 수장법, 그룹별 인간 관계 12신살 위상(位相) 12신살 도표 평생에 흔히 운이 3번씩은 온다는 말이 있는데 12 신살의 위상(位相)운이 신(臣)(년월망장)에서 군(君)(겁재천지) 또는 민(民)(반역육화)으로 교차하는 과정에서 흉이나 길이 발생합니다. 순천자 존 역천자 망(順天者 存 逆天者 亡)이라는 명심보감(明心寶鑑)의 공자의 말이 있는데 하늘의 도리에 순응하며 격에 맞게 살면 길하고 하늘의 이치를 거스르면 천신만고 끝에 이룩한 성공이라도 물거품이 된다는 뜻입니다. 위상(位相) 군(君): 왕(겁살, 재살, 천살, 지살) 신(臣): 신하(년살, 월살, 망신살, 장성살) 민(民): 백성(반안살, 역마살, 육해살, 화개살) 예를 들어 직장인이 군위(君)(겁재천지)운에 있을 때는 중앙에서 근무하다가 민위(民)(반역육화)가 오면 좌천, .. 2023. 5. 18.
12신살 구성원리 - ① 삼합과 12지지의 관계 12신살은 삼합과 12지지의 관계성인데 삼합은 사회적인 합이라는 인간사회의 해석과 오행운동의 시작과 전성기 마무리라는 운의 흐름입니다. 12운성은 천간이 지지로 내려왔을 때의 상태와 운의 흐름을 보고 12신살은 12지지 사이에 일어나는 관계를 읽는데 년지나 일지를 기준하여 삼합의 구성에서 나오게 됩니다 사주의 해석은 음양오행의 생극, 계절에서 출발하고 글자의 의미를 읽고 인간관계와 사건사고는 육신과 합형충파해로 읽습니다. 천간은 내 생각과 꿈이자 다른 사람에게 보이는 것이라면 천간을 받쳐주는 것이 현실적인 환경이 지지가 되는데 내 천간의 꿈이 어떻게 현실화되는지를 볼 수 있습니다. 사주의 중심은 일간이라는 생각이 강한데 실제로는 년이나 월이 더 중요하게 작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요즘같이 개천에서 .. 2023. 5. 17.
사주 명리학 기초 - 지장간(支藏干) 10천간은 하늘의 기운이며 12지지는 땅의 기운이라고 합니다. 땅속에 하늘의 기운이 들어가 있는 지장간은 인간의 기운이라고 불리는데 인원용사지신이라고 합니다. 10천간(天干) 하늘 - 나의 생각, 꿈과 포부를 나타내며 천간에 떠 있으면 남들이 보면 다 아는 것, 공인 정관이 천간에 뜨면 이름 들으면 알만한 회사나 좋은 직장에 다니는 사람으로 보입니다. 재성이 천간에 뜨면 이 사람이 돈 버는 건 주변에서 다 알고 있고 공공의 돈과 같아서 지지에 힘이 없고 관성이 없으면 잘 안모이고 쓰기 바쁩니다. 12지지(地支) 땅 - 내가 사는 현실, 환경로 가까운 사람들만 알 수 있는 것 실력파, 실속파 정관이 지지에만 있으면 회사이름은 잘 모르지만 탄탄하고 실력을 키우기에 좋은 회사, 직장에 다닙니다. 재성이 지지에.. 2023. 5. 16.
사주 명리학 기초 - 귀문관살(鬼門關殺) 귀문관살(鬼門關殺)은 귀신과 관련된 빙의나 정신질환 등으로 해석이 많이 되는데 귀문관살이 있다고 해서 빙의나 정신질환을 겪는 것은 아닙니다. 귀문관살(鬼門關殺)이 정신질환이나 편집증 신기 등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오행이 태과하거나 편중되어 균형이 무너졌을 때나 조후과 무너져서 화가 너무 강한데 수가 없거나 고갈되어버린 경우 정신착란이 일어날 수 있고 수가 너무 많아서 정신적으로 가라앉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머리가 좋은 사람에게 이러한 경우가 더 많이 발생하며 과거의 일로 집착하거나 몰두 하기도 합니다. 귀문관살이 있는 경우에는 영감이 뛰어난 경우가 많고 끝까지 파헤치는 집착으로 인해 고독을 겪을 수 있습니다. 예민하고 주변 사람들에게 원망과 불평을 야기하는 행동, 또라이 소리 듣기 좋은 행동들을 .. 2023. 5. 15.
사주 명리학 기초 - 인(寅) 묘(卯) 수생목 인(寅)이라는 글자는 절구(臼)에서 손으로 화살 시위를 바로 펴고 있는 모양을 본뜬 것이라고도 하며 새롭다, 나오다, 시작하다는 의미가 있고 호랑이가 이빨에 무언가 끼여서 이빨에 힘을 주며 아파한다고도 해서 탕화의 의미가 있다고도 합니다. 탕화살(湯火殺)은 인(寅), 축(丑), 오(午)에 있는데 탕화의 작용은 달궈진 프라이팬에 물방울 하나 똑 떨어지면 물이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리듯 사주에서도 마찬가지로 너무 뜨거운데 차가운 수기가 잠깐 오면 시원하게 해주는 것이 아니라 흔적도 없이 고갈되고 날아가 버려 글자 자체가 망가지게 됩니다. 탕화살이 있으면 성격이 급하고 갑자기 욱하는 내지르는 화병을 주의해야 하며 강렬하고 위험한 일을 즐기는 성향이 있습니다. 화재나 화기에 의한 피해도 주의해야 하며 어릴 때 .. 2023. 5. 14.
사주 명리학 기초 - 원진(怨嗔) 원진(怨嗔)은 사주에서 영향력이 강한 것은 아니며 궁합이나 동업, 남녀관계, 대인관계를 볼 때 참고해서 봅니다. 원진 하나로 궁합이 나쁘다고는 보지 않고 상대방에게 내 용신이나 필요한 글자, 조후를 도와주는 글자가 있는지를 보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사주원국에 원진이 있고 대운에서 겹쳐지면 가까운 인간관계에서 소외되는 경험을 겪거나 스스로 물러나는 경우가 많아집니다. 제 3자가 끼어들어 가까운 사람들을 불신하게 될 일이 생기고 계약이나 약속은 깨지고 지연되며 다툼과 배반, 배신을 당할 수 있습니다. 정신적으로 지쳐 시기, 질투, 불안감, 콤플렉스, 피해의식, 집착, 원망, 신경쇠약 등으로도 나타나게 됩니다. 원진의 작용은 인간관계에서 미움 질투 실망 등의 부정적인 감정이며 가까우면 원수 같고 멀어지면 애.. 2023. 5. 13.
사주 명리학 기초 - 지지해(害), 육해살 해(害)는 육합(合)을 충하는 것으로 육해살, 뚫을 천(穿)이라고 합니다. (12신살의 육해살과는 명칭이 같지만 작용이 다릅니다.) 육합이라는 끈끈한 관계의 공동체가 깨지니 마음에 구멍이 나는 것과 같습니다. 타인의 이간질로 인한 시비, 소송, 투쟁, 싸움, 시기, 질투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음양의 만남을 방해하게 되니 인간관계에서 실망과 분노 배신과 소외감을 느끼게 됩니다. 반대로 보면 합(合)의 관계가 너무 돈독하면 문제 발생시 상대방을 생각하는 배려심이 앞서 무조건 좋다 하고 의견을 내지 못하고 따라가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합(合)이 너무 강하면 여기저기에 묶여 허송세월을 보낼 수도 있는데 이때 형충파해가 적당하게 오면 불필요했던 것을 정리하고 새롭게 일어서기도 합니다. 이때 육해(害)가 오면.. 2023. 5.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