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113 사주 명리학 기초 - 목(木) 사주를 볼 때 음양을 먼저 읽고 오행으로 넘어가야 하는데 음양은 계절적인 음양과 천간 지지의 음양, 양간과 음간의 음양 등으로 볼 수 있습니다. 계절적인 음양은 자월(子) 동지부터 양이 시작하고 오월(午) 하지부터는 음이 시작하게 됩니다. 동지는 양력 12월 22일로 음기운이 극성이라 추운 겨울이며 밤이 가장 긴 때이지만 음양이 교차하는 시기로 동지를 지나면 낮이 점점 길어지게 됩니다. 입춘인 양력 2월 4일부터로 봄이라 하지만 봄 이전의 과정과 생각이 동지부터 시작되는 것을 인지하여야 이 사람이 왜 이런 행위를 했는가? 준비과정인 계획과 전략이 필요한 때인지 행동부터 해야 할 때인지를 알 수가 있습니다. 천간은 양기운으로 기운, 마음, 정신, 생각을 의미하고 지지는 현실이라 움직이고 행동하는 것을 뜻합.. 2023. 4. 4. 행운의 이사방향 - ② 천살, 반안살, 월살, 화개살 12 신살에서의 이사방향 12 신살에서 이사 방향은 4가지로 알려져 있는데 보통 천살(天殺)이나 반안살(攀鞍殺) 방향으로의 이사는 자의에 의해 이루어지지만 월살(月殺)이나 화개살(華蓋殺) 방향으로의 이사는 다른 사람에 의해 이끌려 이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천살(天殺) 방향 천살(天殺)은 군왕이라고 하여 나보다 높은 곳을 의미합니다. 천살은 신분이 올라가겠다는 의지를 가지고 있으니 이사를 하면 발전되는 방향으로 흘러갑니다. 주택의 가격이 높은 곳으로 가는 것도 천살의 영향이 되며 직장 내 승진이나 학업 증진을 위해 이사 가면 좋은 방면이기도 합니다. 공부할 때 나보다 높은 지혜를 주도하는 신살이므로 천살방향으로 머리를 두고 하면 잘 되기도 합니다. 다만 집안일이 잘 되지 않거나 편의를 위해 이사하는 경우.. 2023. 4. 2. 행운의 이사방향 - ① 이사운, 손없는 날 이사운 사주에서 이사운은 월지가 합이 되거나 충이 될 때 이루어지기 쉽습니다. 대체적으로 월지합일 때는 괜찮습니다. 방합이나 육합이면 개인적인 친분이나 가정적인 이유로 이사하거나 삼합일 때는 직장이나 사회생활에 편한 곳으로 이동한다거나 합니다. 월지가 생을 받는 운이나 용신 희신운에는 이사 후에도 집안이 좋아지기 쉽고 충을 받는 경우엔 이동수가 있어 이사할 운이 되곤 합니다. 충은 이동수를 뜻하며 좋다 나쁘다의 개념은 아닙니다. 충 이후 운이 어떻게 흘러가는지에 따라 다릅니다. 이사를 할때는 이전보다 출퇴근이 편리하거나 병치례가 준다거나 금전이 된다거나 가족이 늘어난다거나 등 사는데 유리한 면이 전제가 되어야 합니다. 계약만료로 이사를 하게 되는 경우도 있지만 가급적이면 좋은 방향으로 이동을 하여 좀 더.. 2023. 3. 31. 사주 명리학 기초 - 천간 ⑥ 계수(癸)는 대기권에 있는 습기 같은 것으로 하늘에서 내리는 비에 비유하지만 생각하는 것은 말을 해야 알 수 있듯 잘 보이지 않는 수를 뜻합니다. 나무가 자라려면 계수(癸)를 먹는데 그냥 먹는 것이 아니라 토와 함께 섞인 습기를 먹고 자랍니다. 임수(壬)는 토를 따라서 흐르는 수로 바닷물에 비유하기도 하는데 움직이는 것이 보이는 물을 뜻합니다. 계수(癸) 수직적으로 흐릅니다. 목을 타고 올라가기 때문에 위로 올라가겠다는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어 위아래, 상하관계, 계급적인 것을 따집니다. 한 가지를 정통하게 파고드는 것도 계수(癸)의 특징입니다. 임수(壬)는 수평적으로 흐릅니다. 완성된 상품인 금이 흐르는 유통 경로로 활용됩니다. 자본주의적이며 너와 나는 동등하다는 수평적인 사고방식을 가집니다. 계수(癸).. 2023. 3. 28. 사주 명리학 기초 - 천간 ⑤ 계수(癸)가 갑목(甲)으로 들어가 씨앗이 발아하면 을목(乙)이 되어 싹이 쑥쑥 자랍니다. 병화(丙)는 따스한 햇살로 자라난 싹에 꽃이 피고 정화(丁)가 되어 꽃은 마르고 시들어 버립니다. 경금(庚)의 상태는 꽃이 떨어져 열매가 생겨나는데 완전한 완성품이 아닌 자라나는 상태입니다. 경금(庚)은 자라나는 금으로 제련이 좀 더 돼야 신금(辛)으로 완성될 수 있습니다. 금속에는 이미 목과 화가 들어있는 상태이며 특히 신금(辛)은 갑목(甲)부터 경금(庚)까지 들어가 있으니 시작부터 완성단계까지를 모두 다 알고 있는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신금(辛)이 있는 사람들이 예민하고 까칠한 것은 성격이 나빠서가 아니라 이미 완성까지의 단계를 다 알고 있기 때문에 깐깐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천간을 사람에 빗대어 보면 .. 2023. 3. 19. 사주 명리학 기초 - 천간 ④ 토라는 오행은 우리가 먹고사는 땅의 모습으로 통변이 됩니다. 무토(戊)는 산으로 기토(己)는 심으면 뭔가 자랄 것 같은 땅, 논밭 등의 물상에 빗대어 표현합니다. 토는 음양의 기운이 올라가고 내려가는 것을 조절합니다. 계절에서는 환절기를 뜻하며 음양의 기운이 올라가고 내려가는 것을 조절하여 계절과 계절을 연결하는 통로로 불립니다. 목화금수는 봄, 여름, 가을, 겨울 4계절을 지나며 생장수장(生長收藏)을 하는데 이루어지는 장소가 토가 됩니다. 토는 목과 금이 나오는 환경인데 토가 너무 많으면 씨앗을 너무 깊게 심은 것과 같아 목과 금이 나오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토가 없으면 너무 빨리 나와서 금방 사그라들었다 하여 안정성이 떨어집니다. 무토를 산에 빗대어 본다면 산에 다이아반지를 버렸는데 산이 너무 넓고.. 2023. 3. 10. 사주 명리학 기초 - 천간 ③ 병화(丙)는 만물을 비춰주는 태양을 상징합니다. 따뜻함, 낮, 양기이며 사람에게 있어서 체온이니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조건, 생명 추진의 원동력이 됩니다. 임수(壬)는 밤과 어둠을 나타내며 땅 아래로 흐르고 병화(丙)는 땅 위를 비춰줍니다. 병화가 있으면 보이는 능력이 뛰어나니 판단력이 좋습니다. 임수가 있으면 듣는 것이 발달되어 있습니다. 병화가 있으면 눈이 좋고 무언가를 잘 캐치한다던가 물건을 보는 능력이 뛰어난다던가 눈썰미를 활용하는 분야에 특출 납니다. 병화가 없으면 눈썰미는 떨어집니다. 수가 많고 화가 적으면 자기 자신을 환하게 드러내기가 어렵습니다. 솜씨는 뛰어난데 남들이 몰라준다던가 누군가의 뒤에서 열심히 가르치는 사람, 오프라인이 아닌 온라인, 소문으로만 아는 곳, 수를 활용하는 .. 2023. 3. 7. 사주 명리학 기초 - 천간 ② 갑목(甲) - 밭(田)에서 뭔가 올라오는 중인 모습입니다. 목의 일차적인 통변은 올라간다. 성장한다. 추진력 등인데 늦게 자라면 햇빛을 볼 수 없기 때문에 기를 쓰고 위로 향하려고 합니다. 갑목의 오르는 기운은 밖에서 보이는 것이 아닌 땅속에서 오르는 기운입니다. 땅속의 씨앗이 몇 센티의 땅을 뚫고 나오려면 온몸의 에너지를 다 활용해야 밖으로 나갈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갑목은 주변 상황 상관없이 무조건 위로만 오르려고 합니다. 세상 구경 한번 해보려고 땅 끝까지 올라가는 힘 그것이 갑목입니다. 간단하게 통변 한다면 자기가 하고 싶은 것을 끝까지 관철시키려고 한다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갑목을 동량목이라고 해석하기도 하는데 봄의 갑목에게는 마음뿐이고 가을의 갑목에게 어울리는 말입니다. 봄의 갑목은 .. 2023. 3. 5. 사주 명리학 기초 - 천간 ① 천간은 하늘의 변화를 글자로 옮겨놓은 것이고 지지는 땅의 변화 계절의 변화를 설명하는 것입니다. 천간의 물상적 표현 갑목(甲) - 씨앗이 발아하기 전의 상태로 발아하기 위해 모든 에너지를 쏟는 과정입니다. 천간에 갑목이 있으면 추진력이 뛰어납니다. 을목(乙) - 싹이 올라와 점점 자라나는 모습을 가집니다. 빠르게 성장합니다. 병화(丙) - 따뜻한 햇살이 내리쬐는 때입니다. 자라난 싹에 꽃이 핀 것과 같습니다. 정화(丁) - 시간이 지나 꽃이 시드는 과정으로 병화가 오랜 시간 내리쬐면 땅이 뜨끈뜨끈해지는 복사열의 과정입니다. 경금(庚) - 꽃이 떨어져서 열매가 생겨납니다. 형체만 있지 온전한 열매라고 하기는 어렵습니다. 신금(辛) - 경금이 열에 의해 익어버린 완전한 열매입니다. 천간에 신금이 있으면 완성.. 2023. 3. 5. 이전 1 ··· 9 10 11 12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