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73

사주 명리학 기초 - 축(丑) 수생목 축(丑)의 글자는 잔을 받추어 든 모양, 두 손을 모은듯한 모양입니다. 금과 수가 얼어붙어 있지만 땅 속에서는 수가 녹아서 흐르기 때문에 토와 수가 섞여있는 상태입니다. 신체에서는 비장, 비위를 담당하고 있어서 토가 약하면 비위가 약합니다. 비장은 림프구를 만들고 노쇠한 적혈구를 파괴하는 기능을 합니다. 흔히 말하는 숨겨둔 비장의 무기라는 말에 나오는 장기이기도 합니다. 소로 표현되는 축토(丑)는 성실함을 상징합니다. 같은 것을 계속하는 성향이 있으며 낙천적으로 근검절약하며 우직합니다. 생각이 많고 움직임이 한정적이지만 어떤 직종이던 묵묵하게 충실하게 임합니다. 자수(子)의 임수(壬)와 계수(癸)는 얼음 상태인데 토를 만나지 못하면 얼음만 따로 노는 것이 되어 현실적인 부분이 떨어집니다. 토가 없는 자수.. 2023. 5. 2.
사주 명리학 기초 - 자(子) 수생목 자(子)의 글자 뜻은 남자 또는 아들이며 종족번식의 개념인 종자라는 뜻을 가집니다. 얼굴에서는 귀, 신체에서는 콩팥이며 경락에서는 족소음신경인데 발바닥 용천부터 시작해서 다리 안쪽 전립선 근처를 돌아 위로 올라갑니다. 용천혈은 신장을 튼튼하게 하는 곳으로 많이 걸으면 기력, 활력, 정력이 강해집니다. 사주에 자(子)수가 많으면 음적인 기운이 강합니다. 신장이 망가지면 흰머리가 늘어나고 힘이 약해지니 머리카락 색이 연하면 신장건강에 신경 써주는 것이 좋습니다. 자(子)수에는 임수(壬)(10일)와 계수(癸)(20일)가 있는데, 임수는 겨울의 금생수구간이며 계수는 봄의 수생목구간을 열어줍니다. 물상적으로 계수(癸)는 하늘에서 내리는 비라면 자수(子)는 아래에서 흐르며 인간 생활에 널리 쓰이는 물이 됩니다. 동.. 2023. 5. 1.
12운성(포태법) - 쇠병사묘(衰病死墓) 해석 쇠(衰)의 해석 왕(旺)에서 정점을 찍고 물러서서 여유를 가지고 실속을 차리는 때가 쇠(衰)입니다. 신살로는 반안살입니다. 리더가 아닌 조력자, 조언자의 위치에서 이전에 해오던 일의 처리는 능숙하지만 새로운 일을 하기에는 추진력과 아이디어는 부족합니다. 쇠(衰)지 부터는 활동적인 일보다는 정적인 일이 어울리며 안정적인 일이 좋습니다. 적극적이지 않고 한발 물러서서 관망하며 온순하고 겸손해 무슨 일이든 원만하게 흘러가도록 만듭니다. 정신적으로 조숙하며 노련한데 성실하기까지 해서 무슨 일이던 안정적으로 만들어냅니다. 나이가 어려도 쇠(衰)가 사주에 있으면 정신적으로 조숙하고 하는 짓이 애늙은이 같습니다. 동정심이 많고 다른 사람들의 부탁을 잘 거절하지 못하고 헌신적으로 대하므로 믿고 돈을 빌려주거나 보증이나.. 2023. 4. 30.
12운성(포태법) - 욕대관왕(浴帶冠旺) 해석 욕(浴)의 해석 목욕(沐浴), 년살(年殺), 도화살(桃花殺)이라고도 하는데 깨끗하게 씻고 예쁘게 꾸미는 능력이 뛰어나 다른 사람들의 이목을 끄는 행위라고 보면 됩니다. 멋을 부리고 유행에 민감하고 인기가 좋으며 끼가 있고 애교스러워 현대에서는 좋게 작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직 성년이 아닌 어린아이이므로 기분과 감정이 우선하므로 일을 잘 벌리고 변화가 심합니다. 지구력이 부족하니 사건사고나 연애사가 많이 발생하는데 싫증을 잘 내니 금방 다른 것을 찾아 떠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풍류를 즐기며 예술적이며 아름답고 예쁜 것을 좋아하니 사치스러운 면이 없잖아 있습니다. 사주 구조가 나쁘면 주색잡기로 빠질 가능성도 있지만 사주 구조가 좋으면 인기가 좋은 품위 있는 멋으로 보입니다. 목욕(沐浴)은 때 빼고 광내고.. 2023. 4. 29.
12운성(포태법) - 포태양생(胞胎養生) 해석 절처봉생(絶處逢生) 12운성에서 포(胞), 절(絶)은 육체와 정신이 갈라지고 끊어짐에서 다시 태어나는 것으로 절처봉생이라고 합니다. 절처봉생(絶處逢生)은 죽고 다시 태어난다는 의미인데 지금의 상태는 죽을 만큼 힘들고 더 이상 내려갈 곳이 없으니 올라갈 일만 남아있는 것이기도 합니다. 지금은 미약한 기운으로 아무것도 아닌 상태이니 바꿔서 이야기하면 어떠한 것도 될 수 있습니다. 모든 일은 발전하기 전에 고난과 역경을 겪어야 하는데 이러한 관문을 통과해야만 새로운 결과를 맞이할 수 있습니다. 세운이나 대운에서 포(胞), 절(絶)을 만나면 현재는 너무 고통스러운 어둠의 시기이지만 곧 여명이 밝아오고 새로운 태양이 뜨게 되니 이전의 것은 버리고 새로운 것을 맞이해야 합니다. This, Too, Shall Pas.. 2023. 4. 28.
12운성(포태법) - 적용방법 십이운성 활용방법 일간을 중심으로 년, 월, 일, 시지에 십이운성을 대입해서 초년운, 청년운, 장년운, 말년운의 순서로 보거나 육신별로 년, 월, 일, 시, 세운, 대운에 대입해서 봅니다. 년, 월, 일, 시끼리 기둥에 대입해서 보기도 합니다. 12운성중 기운이 가장 약한 때는: 포(절)(胞(絶)), 태(胎), 사(死)입니다. 생(生)부터 왕(旺)까지는 기세가 좋고, 왕(旺)부터는 기세가 줄어준다고 해석하면 됩니다. 십이운성은 천간을 지지에 대입해 생로병사의 과정입니다. 씨앗의 상태에서 엄마의 보살핌을 받으며 10달간의 양육상태를 지나 축복을 받으며 태어나 (절태양생) 자라나고 독립해서 발전해 인생의 정점을 찍고 (욕대관왕) 뒤로 물러나고 병들고 죽고 내세의 심판을 받고 다시 무의 상태로 돌아가는 (쇠병.. 2023. 4. 27.
행운의 잠잘때 머리 위치 - 반안살 풍수적으로 문이 바로 보이는 곳, 뾰족한 것이 보이는 곳, 창밖에 전봇대나 세로 간판등이 보이는 곳, 거울이 바로 보이는 것은 살(殺)이 있는 곳이라 잠잘 때의 보이는 곳으로 좋지 않습니다. 개운법에서는 잠자는 방향을 매우 중요시하는데 하루의 일과를 마친 후 다음날을 준비하기 위한 기의 축적시간이기 때문에 좋지 않은 방향으로 잔다면 컨디션 조절이 힘들고 신경이 예민해지는 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안살은 왕의 측근에 기거하면서 약방의 감초처럼 왕을 보필하는 내시의 모양새와 닮아 있습니다. 필요한 것들을 가져다주며 왕의 비밀을 죽어서도 지켜주기 때문에 금고나 귀금속이나 현금 등도 반안살 방향에 두면 잘 지켜지게 됩니다. 건강을 위한 보신식이나 믿을만한 사람의 띠, 이사방향도 반안살 방향을 따르면 개운이 .. 2023. 4. 26.
천간과 12지지의 관계 12운성(포태법) - 수장법 수장법(운지법) 수장법은 왼손을 이용하여 12지지를 암기하고 엄지손가락으로 암기한 자리를 짚어나가면서 12운성(포태법), 12신살, 삼재, 공망, 양인, 합, 형충파해, 당사주, 월두법, 시두법 등을 바로바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손가락위치를 확실히 암기해 놓으면 십이운성과 십이신살 붙이는데 엄청 편한 방법이 되겠습니다. 12지지의 위치 / 수장법 / 손가락 사주 왼손 엄지손가락으로 12지지가 위치한 마디를 짚으면 되는데 순행은 시계방향으로 돌리고 역행은 시계 반대방향으로 짚어나가면 됩니다. 십이운성 십이운성은 인생의 단계 생로병사를 글자로 풀이한 것입니다. 천간의 기운이 지지로 내려와 기운이 태어나고 자라서 전성기를 맞이하고 쇠하고 약해져서 죽고 기운이 끊어지고 다시 태어나는 관계를 표현한 것입.. 2023. 4. 25.
사주 명리학 기초 - 절기 사주의 연월일시 중 월은 절기를 중심으로 변화하여 개인의 음양오행을 만들어냅니다. 절기는 지축이 23.5 º 기울어져있어 발생하는 현상으로 위도에 따라 변화하는 일조량에 의해 만들어집니다. 춘분과 추분의 낮과 밤은 같고 하지는 낮이 가장 길며 동지는 밤이 가장 긴 시기인데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생인 수생목, 목생화, 화극금, 금생수의 기준이 됩니다. 동지부터는 子(壬/癸)에서 계수(癸)가 갑목(甲)을 생하는 수생목 춘분부터는 卯(甲/乙)에서 을목(乙)이 병화(丙)를 생하는 목생화 하지부터는 午(丙/己/丁)에서 정화(丁)가 기토(己)를 생하고 토가 다시 경금(庚)을 생하는 화생토, 토생금과정의 화극금 추분부터는 酉(庚/辛)에서 신금(辛)이 임수(壬)를 생하는 금생수 구간입니다. 동지부터 하지까지는 병.. 2023. 4. 23.